개발일기/WIL

[WIL]이노베이션 캠프 1주차 회고

공쥬쥬 2022. 8. 7. 15:09

이노베이션 캠프 시작

9-9으로 12시간으로 생각하고 있었지만 첫날부터 우리는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해야했다.

코드 짜는것에 익숙하지 않은 나에겐 더욱 더 어려웠고 9-9이 아니라 오전 9시부터 다음날 새벽 1시가 되도록 했었다.

스파르타에서 제공해준 강의를 이해하고 그에 맞는 코드를 짜고 오류가 나고..를 무한 반복했다.

목요일이 저녁까지가 제출 기한이었는데 우리 조는 마지막으로 git에서 merge를 하는 과정에서 큰 충돌이 났고, 이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 제출 시간이 훨씬 지나서야 제출을 할 수 있었다. 

git에서 이런 문제를 겪고나서 충돌해결법이나, 다음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면 분업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해야할지를 알게되었다.

역시 겪어보는 것과 전해 들어 아는 것은 많이 달랐다.

금요일이 되어 알고리즘 주차가 시작 되었고 새로운 팀원들을 만났다. 

이전 프로젝트 시 git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팀원들에게 말하고 팀원들에게 좋은 피드백과 정확한 사용방법을 다시 배우게 되었다. 

알고리즘 문제는 생각보다 쉽게 풀리는것, 아무리 생각해도 해결책이 나오지 않는 것 두 분류로 나뉘었다.

최대한 혼자 생각해보고 이것저것 코드를 짜보려고 노력했고, 팀원들과 스터디를 하는 과정에서 더 좋은 방법이나 더 짧은 코드 , 이해하기 쉬운 코드 등은 메모 해 둔 뒤 블로그에 업로드 하였다. 

이해가 안가는 문제는 최대한 혼자 이해하고 나 스스로에게 가르쳐 주는 방식으로 공부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해하는데 오래걸려 나에게 더 적합한 공부법이 있을지 아직 고민 중에 있다.)

 

 

 

1 week keyword

-SSR(Serverside Remdering)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줄 페이지를 모두 구성하여, 페이지를 보여주는 방식.

서버에서 미리 구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주기 때문에 초기 로딩 속도를 단축시킨다 !

 

-JWT(Json Web Token)

기존 로그인하면 서버에 세션을 만들고 쿠키를 반환하는 전통적인 접근방식 대신, Json Wek Token이 반환되어 로컬에 저장되는 방식.

인증 받은 사용자에게 토큰을 발행해주고, 서버에 요청 할 때 http헤더 토큰을 함께 보내서 인증받은 사용자인지 유효성 검사를 시행한다

(유효성 검사를 시행하는 과정을 놀이공원 입장권 팔찌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웠다!)
쿠키-세션 방식은 쿠키를 도용하여 요청을 보내면 올바른 사용자가 보낸 요청인지 알 수 없는데 이 점을 보완한 방법이다,

로그인/회원가입/로그아웃 기능을 구현하며 이 부분에 대해 최대한 완벽하게 이해하고자 노력했다.

로그아웃을 굉장히 어려운 기능이라고 생각하고 접근해 로그아웃 기능을 구현하는데 오래 걸렸으나 쉽게 생각하니..금방 구현할 수 있었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을 말한다.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매커니즘.

요청과 응답을 사용함

 

 

좋았던 점

짧은 시간이지만, 결과물이 나온것. 부지런히 살며 지식이 많아진 부분에서 가장 만족스러웠다.

또한 팀원들과 함께 공부하다 보니 팀원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 남들보다 더 공부해야했고, 그러다보면 만족스러운 하루를 채울수 있었다. 

 

 

부족한점

프로젝트 경험이 없어서, git사용이 많이 어색했다. 또한 새로은 팀원들에게 git사용법을 배웠지만 실제 사용은 적어서 다음 프로젝트 시 잘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이 앞선다.

또한 첫주차 프로젝트를 급하게 업로드 하면서 문제가 있었다. 

1. 로컬에서는 잘 돌아 가지만 ec2에 업로드 하면 로그인이 되지 않는 현상

2. 회원정보 수정 기능 

3.논의게시판 댓글 수정/삭제 오류, 포스트 수정/삭제 오류

4.특징게시판에 좋아요 기능, 다른 게시판 가면 초기화 되어있는 현상

해결해야할 문제가 있지만 틈틈히 전 팀원들과 모여 자잘한 오류를 수정 중에 있다.

첫 술 부터 완벽하기엔 어렵지만 정성을 많이 들인 프로젝트라서 완벽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또한 첫 프로젝트라 분업이 비효율적으로 된 점,  주소가 겹쳐 마지막에 큰 충돌이 났었던 점이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