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혼자하는 문법공부
-
친한듯 친하지 않은 map 함수를 위와 같이 수기로 정리 했다. map함수는 반복문을 돌며 배열안의 요소들을 1:1로 짝지어준다. 어떻게 짝지어 줄 것인가 정의한 함수를 메서드의 인자로 넣어주면 된다. map을 실행하는 배열과 결과로 나오는 배열은 다른객체가 된다. 기존 배열 수정하지 않고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 낸다. 즉 map 함수는 --> arr의 값을 하나씩 불러와 thisArg 값에 맞게 실행한 후 새로운 배열 보내는 것이다.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에서 리뷰했던 문제이다. function solution(a, b) { var answer = 0; for(let i = 0; i < a.length; i++) { answer += a[i]*b[i] } return answer } for문을 돌려 a,..
[Javascript] map 메소드친한듯 친하지 않은 map 함수를 위와 같이 수기로 정리 했다. map함수는 반복문을 돌며 배열안의 요소들을 1:1로 짝지어준다. 어떻게 짝지어 줄 것인가 정의한 함수를 메서드의 인자로 넣어주면 된다. map을 실행하는 배열과 결과로 나오는 배열은 다른객체가 된다. 기존 배열 수정하지 않고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 낸다. 즉 map 함수는 --> arr의 값을 하나씩 불러와 thisArg 값에 맞게 실행한 후 새로운 배열 보내는 것이다.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에서 리뷰했던 문제이다. function solution(a, b) { var answer = 0; for(let i = 0; i < a.length; i++) { answer += a[i]*b[i] } return answer } for문을 돌려 a,..
2022.08.11 -
Data() 실행 var date1 = new Date(); // 현재 날짜+시간 var date2 = new Date(2022,08,10,3,50); // 2022년 09월 10일 3:50:00 var date3 = new Date('2022-08-01'); // 2020년 9월 1일 09:00:00 var date4 = new Date('2012-05-17 10:20:30'); // 2012년 5월 17일 10:20:30 get/set 비교 get : 반환의 역할. set: 대입 역할. var dt = new Date('2010-12-25'); 일때 dt.getDate(); 는 25 를 반환 dt.setDate(13); 은 dt 객체를 2010년 12월 13일로 변경 만약 받은 날짜함수를 스트링으로 ..
[Javascript] Date()Data() 실행 var date1 = new Date(); // 현재 날짜+시간 var date2 = new Date(2022,08,10,3,50); // 2022년 09월 10일 3:50:00 var date3 = new Date('2022-08-01'); // 2020년 9월 1일 09:00:00 var date4 = new Date('2012-05-17 10:20:30'); // 2012년 5월 17일 10:20:30 get/set 비교 get : 반환의 역할. set: 대입 역할. var dt = new Date('2010-12-25'); 일때 dt.getDate(); 는 25 를 반환 dt.setDate(13); 은 dt 객체를 2010년 12월 13일로 변경 만약 받은 날짜함수를 스트링으로 ..
2022.08.10 -
str_text.replace("찾을 문자열", "변경할 문자열") -> 특정 문자를 다른 문자로 치환하게 해줌. -> 바꿀문자 직접 입력 or 정규표현식 사용 가능 *replace()함수는 제일 먼저 일치하는 패턴만 변환 후 모든 텍스트를 바꾸지 않음 (유의할 것 !) var test = '가나다라 마바사 가나' var result = test.replace('가','나'); console.log(result); //-> 나나다라 마바사 가나 정규표현식 모든 문자 변환 가능, 숫자만 변환가능, 맨 앞 or 맨 뒤만 변환 가능 var test = '가나다라 마바사 가나' var result = test.replace(/가/gi,'나') console.log(result) //->나나다라 마바사 나나 /표..
[JavaScript] Replace() 문자 변환, 치환/정규표현식str_text.replace("찾을 문자열", "변경할 문자열") -> 특정 문자를 다른 문자로 치환하게 해줌. -> 바꿀문자 직접 입력 or 정규표현식 사용 가능 *replace()함수는 제일 먼저 일치하는 패턴만 변환 후 모든 텍스트를 바꾸지 않음 (유의할 것 !) var test = '가나다라 마바사 가나' var result = test.replace('가','나'); console.log(result); //-> 나나다라 마바사 가나 정규표현식 모든 문자 변환 가능, 숫자만 변환가능, 맨 앞 or 맨 뒤만 변환 가능 var test = '가나다라 마바사 가나' var result = test.replace(/가/gi,'나') console.log(result) //->나나다라 마바사 나나 /표..
2022.08.06 -
str.substr(start,length) str.suvstring(indexstart,indexEnd) str.slice(beginindex, endindex) 뒷 부분 모두 생략 가능함. 생략 가능할 경우 시작 위치부터 문자열 끝까지 자른다. 문자열을 뒤에서부터 자르기에는 slice함수를 사용하면 효율적이다 ! substr함수로 문자열을 자르자 var str = "공쥬의개발일기" var result1 = str.substr(0,2) //-> 공쥬 var result2 = str.substr(3,6) // ->개발일기 var result3 = str.substr(3) // ->개발일기 substr("시작위치", "길이") 또는 substr("시작위치") substring 함수로 문자열을 자르자 var..
[JavaScript] 문자열 자르기 (substr, substring, slice)str.substr(start,length) str.suvstring(indexstart,indexEnd) str.slice(beginindex, endindex) 뒷 부분 모두 생략 가능함. 생략 가능할 경우 시작 위치부터 문자열 끝까지 자른다. 문자열을 뒤에서부터 자르기에는 slice함수를 사용하면 효율적이다 ! substr함수로 문자열을 자르자 var str = "공쥬의개발일기" var result1 = str.substr(0,2) //-> 공쥬 var result2 = str.substr(3,6) // ->개발일기 var result3 = str.substr(3) // ->개발일기 substr("시작위치", "길이") 또는 substr("시작위치") substring 함수로 문자열을 자르자 var..
2022.08.06 -
Number 메소드 -> Number 메소드는 Number 객체에 정의 되어 있는 숫자와 관련된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메소드 1.Number.parseFloat() 메소드 문자열을 파싱하여, 문자열에 포함된 숫자 부분을 실수 형태로 반환 문자열에 여러개의 숫자가 존재하면, 그 중에서 첫번째 숫자만 실수 형태로 변환 Number.parseFloat("11"); // 11 Number.parseFloat("111.111"); // 111.111 Number.parseFloat("11여름"); // 11 Number.parseFloat("12 34 56"); // 12 Number.parseFloat("여름 11")); // NaN 2.Number.parselnt() 메소드 문자열을 파싱하여, 문자열에 포함..
[JavaScript] Number 메소드Number 메소드 -> Number 메소드는 Number 객체에 정의 되어 있는 숫자와 관련된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메소드 1.Number.parseFloat() 메소드 문자열을 파싱하여, 문자열에 포함된 숫자 부분을 실수 형태로 반환 문자열에 여러개의 숫자가 존재하면, 그 중에서 첫번째 숫자만 실수 형태로 변환 Number.parseFloat("11"); // 11 Number.parseFloat("111.111"); // 111.111 Number.parseFloat("11여름"); // 11 Number.parseFloat("12 34 56"); // 12 Number.parseFloat("여름 11")); // NaN 2.Number.parselnt() 메소드 문자열을 파싱하여, 문자열에 포함..
2022.08.06 -
Math 객체는 수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상수와 함수를 미리 구현해 놓은 자바스크립트 표준 내장 객체 생성자가 존재하지 않아서 따로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더라도 Math 객체에 모든 method나 property를 바로 사용 가능 Math.min(x,y,z) 가장 작은값 반환 Math.max(x,y,z,) 가장 큰 값 반환 Math.random()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은 무작위 숫자 반환 Math.round(x) 인수와 같거나 작은 수 중에서 가장 큰 정수 반환 Math.floor(x) 인수와 같거나 큰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정수 반환 Math.abs(x) x의 절댓값 반환 Math.sqrt(x) x의 제곱근 반환 Math.cbrt(x) x의 세제곱근 반환 Math.exp(x) e의 x제곱근 값을..
[JavaScript] Math 함수Math 객체는 수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상수와 함수를 미리 구현해 놓은 자바스크립트 표준 내장 객체 생성자가 존재하지 않아서 따로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더라도 Math 객체에 모든 method나 property를 바로 사용 가능 Math.min(x,y,z) 가장 작은값 반환 Math.max(x,y,z,) 가장 큰 값 반환 Math.random()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은 무작위 숫자 반환 Math.round(x) 인수와 같거나 작은 수 중에서 가장 큰 정수 반환 Math.floor(x) 인수와 같거나 큰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정수 반환 Math.abs(x) x의 절댓값 반환 Math.sqrt(x) x의 제곱근 반환 Math.cbrt(x) x의 세제곱근 반환 Math.exp(x) e의 x제곱근 값을..
2022.08.06